본문 바로가기
springboot 수업일지

1일차 - web통신 이론 정리

by wannabe 2021. 6. 24.

★ UTF-8

모든 통신의 시작은 프로토콜(약속)이다.

전류는 계속 흐르는데 받는 사람이 받았다가 안받았다가 하면 된다.

그러기위해 프로토콜이 필요하다

ㅁㅁㅁㅁㅁㅁㅁㅁ 경우의 수 표현 8비트로

2^8=256

8비트로 영어 한 문자 전송가능하다

8비트가 되면 사람이 이해할수 있는 단위로 바뀐다

0101000을 컴퓨터가 십진수 100(예시)으로 바꿔주고 그걸 다시

convert한다 문자로.. 즉, 부호화를 해서 '가'로 표현해줌

부호화를 하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다

8비트를 1바이트로 바꾼다

8bit=1Byte

실제로는 비트가 흐르지만 논리적으로는 바이트가 흐른다. 그래서 바이트스트림이라고 한다

컴퓨터는 메모에 데이터를 저장한다. 메모리에 1바이트를 저장하려면...

메모리 한 칸을 8bit 공간으로 설정 즉, 1Byte로 설정

1Byte

1000Byte=1kByte

MByte

GByte

사람은 데이터를 변수에 저장한다. 컴퓨터는 이를 번지로 저장해준다

그리고 변수를 찾아쓴다. 이때 컴퓨터는 해당 변수에 대한 번지를 찾아서 반환해줌

한글은 2Byte씩 필요하다 -> euc-kr로 표현

근데 영어,한글,중국어 등 여러 통신을 위해 쓸때는 UTF-8을 사용한다. 3바이트로 전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