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마우스 우클릭-New-Spring Starter Project
2.프로젝트 생성 완료된 후,
Maven Dependencies는 라이브러리 / 이걸 관리하는 파일이 pom.xml
3. Maven Repository
Maven Repository: https://mvnrepository.com/artifact/com.google.code.gson/gson/2.8.4
여기 Maven 복사해서 pom.xml에 붙여넣기
Maven Repository는 의존성으로 인해 사용한다.
의존되고 있는것들을 다 다운받아준다
연결된 자료들을 다 다운받아주므로 편리하다!
4.src/main/resources 파일
dynamic web project에서 webapp폴더는 외부에 공유되는 폴더이다
이와 마찬가지로, src/main/resorces폴더도 외부에서 가져갈수 있는 열린폴더이다
즉,
src/main/resorces
-static
-templates
이 파일들은 외부에 공유되는 파일임
그러니, 여기에 중요한 소스를 넣어두지 말것
*application.properties는 context.xml, web.xml 한꺼번에 작성 가능
-context.xml은 이름으로 보면, '성'에 해당됨, 한번 실행되고 끝나는 코드
-web.xml은 한번 실행되고 끝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request할때마다 시행됨
▶포트 충돌이 일어나서 다음과 같이 포트번호를 바꿔줌(포트번호 8000으로 설정)
5.src/main/java 파일 안에 SecondappApplication.java 실행
▶demon process가 계속 돌고있음
▶Springboot 실행하면 내장 톰캣을 가지고 있어서 자동으로 톰캣이 실행된다(톰캣 설치 안해도 됨)
크롬에서 localhost:8000 주소 입력한 결과페이지 ▷ 404 상태코드
★ 상태코드???
다음과 같이 검색하기
HTTP 상태 코드 - HTTP | MDN
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.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: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, 성공적인 응답, 리다이렉트, 클라이언트 에러, 그리고 서버 에러. 상태 코드는 section 10 of RFC 2616에 정의되어 있습니다.
developer.mozilla.org
< http 상태코드 정리 >
-100번대: 기다려 (내가 지금 바쁘다)
-200번대: 정상
-300번대: redirection 재요청
-400번대: 클라이언트 잘못
-500번대: 서버 잘못
6. TestController.java 클래스 생성
다음과 같이 작성한다
주소 요청을 받는 애는 Controller
웹창에 다음과 같이 주소 입력한 결과
'springboot 수업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일차(3) 스프링프레임워크 개념 (0) | 2021.06.24 |
---|---|
2일차(2) @RestController / @RequestBody (0) | 2021.06.24 |
2일차(1) HTTP 1.1 프로토콜(http 메서드) (0) | 2021.06.24 |
1일차 - web통신 이론 정리 (0) | 2021.06.24 |
1일차 - sts 설치/환경설정 (0) | 2021.06.24 |